환단고기 원전 (원문/해석)

태백일사 : 고려국본기 13 고려의 제천문

상생문화1 | 2024.02.16 02:22 | 조회 194

고려의 제천문


文大 高宗安孝大王十八年 으로 在瑞昌縣이라가

爲蒙古兵所虜 蒙古兵 至鐵山城下하야 令文大 呼喩州人曰

眞蒙古兵來矣可速出降하라 한대 文大乃呼曰 假蒙古兵也且勿하라.

蒙古人 欲斬之라가 使한대 如前하니 遂斬之

蒙古攻城甚急하니 城中糧盡하야 克守 將陷 判官希績

聚城中婦女小兒하야 納倉中火之하고 率丁壯하야 自刎而死하니라.

 

문대文大 고종 안효대왕安孝大王(23) 18(단기 3564, 1231), 낭장으로서 서창현瑞昌縣 머물다가 몽골 군사에게 사로잡혔다. 몽골 군사가 철산성鐵山城 아래에 이르러 문대로 하여금 고을 사람들에게 진짜 몽골군이 왔으니 빨리 나와서 항복하라 소리치게 하였다. 그러나 문대가 소리 높여, 가짜 몽골군이니 항복하지 말라라고 하였다.

이에 몽골 사람이 문대를 참수하고자 하다가 다시 소리치게 하였다. 다시 전과 같이 하므로 드디어 죽였다.

몽골군이 성을 몹시 급하게 공격하니, 성중에 양식이 떨어져 지킬 수가 없었다. 함락되려 하므로 판관判官 이희적希績 안의 부녀자와 어린아이를 모아 창고 속에 들어가게 불을 지르고 장정들을 이끌고 스스로 목을 찔러 죽었다.

 

敬孝王十二年癸卯三月 密直使 以命으로 祭塹城壇하고

仍刻板題詩하니 其詩

春風景物富年華한대 承命來遊道里.

鞭馹朝辭丹鳳闕이오 棹舟暮白波.

半空蒼翠山浮色이오 滿壑氛氳草自花.

借問蓬萊何處是 人言此地卽仙家.

心靜身閒骨欲仙하니 遙思人事正茫然이라.

秘席中興後 累石壇太古前이라.

已得眼看千里地 疑身在九重天이라.

此行無如相托이면 須値還都第一年이라.

 

경효왕(공민왕) 12(癸卯, 단기 3696, 1363) 3월에, 밀직사密直使 이강李岡 어명을 받들고 참성단에서 천제를 올렸다. 이어서 시를 지어 나무판에 새겼는데, 시는 이러하다.

 

봄바람 속에 만물 정취 짙어 가는데 왕명 받들고 떠나온 멀기도 하여라.

이른 새벽 말을 달려 구중궁궐 떠났는데

젓는 저녁 무렵, 갈매기는 파도 위를 날아 오르네.

하늘 복판에 솟은 산은 푸른 빛깔 뽐내고

골짜기엔 봄기운 완연해 풀이 절로 꽃을 피우네.

묻노니, 신선 사는 봉래산 어드메뇨.

사람들은 이곳이 바로 선가仙家 하네.

마음은 고요하고 몸은 한가로워 체골조차 신선이 되려 하네.

멀리 인간사 생각해 보니 참으로 아득하구나.

자리 깔고 약소한 제물이나마 올리는 것은 홍건적 물리친 뒤이지만

돌로 쌓은 영기 서린 제단은 태곳적 것이라네.

눈앞에 천리 강산 훤히 보이고 이내 , 구중 하늘에 오른 같아라.

이번 길에 서로 의탁할 짝은 없지만

적을 물리치고 환도한 해를 기억이나 하자꾸나.

 

江陵王禑五年三月辛未 命遣使致祭于塹城壇하실새

大提學權近 製誓告文以進하니 其文

初獻이라 海上山高하니 逈隔人之煩擾삿다.

壇中天近하니 可邀仙馭之降臨이삿다 薄奠斯陳하오니 明神如在삿다.

二獻이라 神聽하시니 斯人이삿다.

天覆無私하시니 照臨下土삿다. 事之以禮하오니 感而遂通이삿다.

 

강릉왕江陵王 5(단기 3712, 1379) 3 신미辛未, 사자를 보내어 참성단에서 천제 드릴 것을 명하셨다.

 

대제학大提學 권근權近 서고문誓告文8) 지어 올렸는데, 글은 이러하다.

초헌初獻 : 바다 가운데에 산이 높으니 인간 세상의 번뇌와 시끄러움에서 멀리 떠났습니다. 제단 중앙은 하늘에 닿을 듯하니 신선의 수레를 타고 강림하시는 삼신님을 맞이하옵니다. 조촐한 음식을 올리오니 밝으신 삼신께서 계시는 듯하옵니다.

이헌二獻 : 삼신께서 미혹됨이 없이 들어 주시나니 사람을 감싸 안고 베풀어 주십니다. 하늘은 사사로움 없이 덮으시고 인간 세상을 굽어보십니다. 예를 극진히 하여 섬기나니 삼신께서 감응하시어 성신이 통하기를 축원하옵나이다.

 

컨대 摩利山 檀君攸祀 自聖祖 爲民하사

纘舊而垂休하시고 後王 避狄遷都하사 亦賴玆而保本이로이다.

我家守之 而朕小子承之益虔하노이다.

天何外寇之狗하야 而以致我民之魚爛이시며 雖遠彊之受侮

尙許表聞이온 厥邑之被侵 胡然忍視리잇가

其明威之이리오마는 寔否德之無良이로이다.

實難求他 惟在自責이로이다.

이나 人若不安其業이면 則神將無所於歸시리니 玆因舊典之遵하야

敢告當時之患이오니 忱欵欵이오 寶鑑明明이삿다 致令海揚波하사

丕亨梯航之幅湊하시고 天其申命하사 光膺社稷之安磐하소서.

 

곰곰이 헤아려 보건대 마리산은 단군왕검께서 천제를 지내시던 이옵니다. 성조聖祖 이래로 백성을 위해 법도를 세우고, 법통을 계승하여 아름다움을 드리우셨습니다. 고종에 이르러 오랑캐(몽골) 피해 도읍을 옮기고 또한 이곳에 의지하여 국본을 보존하였습니다. 그러므로 나라의 국통이 끊어지지 않았고, 소자(우왕) 이를 계승하여 더욱 공경하옵나이다.

하늘이시여! 어찌 외구外寇 개같이 좀도둑질하여 우리 백성을 어란魚爛 지경에 이르게 하시옵니까? 비록 변방이 침략을 받았으나 오히려 표문表文 올리는 것을 허락하셨으니 어찌 고을이 침략당하는 것을 보기만 하시옵니까? 어찌 밝은 위엄의 징험이 없으시겠습니까만 실로 저의 부덕한 소치이니 진실로 남에게 구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요, 오직 자책할 뿐이옵니다. 그러나 사람이 만약 하는 일을 편안히 여기지 않는다면, 삼신께서도 장차 돌아가실 곳이 없을 것입니다. 이에 법을 좇아 감히 지금의 환란을 고하오니, 조촐한 저의 정성이지만 기꺼이 받으시고 밝게 굽어살펴 주시옵소서.

바다에는 파도가 일지 않게 하시어 배를 타고 멀리서도 몰려들게 하소서.

하늘이시여! 천명을 내려 주시어 사직社稷 반석 위에 올라설 있도록 보살펴 주시옵소서.

twitter facebook kakaotalk kakaostory 네이버 밴드 구글+
공유(greatcorea)
도움말
사이트를 드러내지 않고, 컨텐츠만 SNS에 붙여넣을수 있습니다.
195개(1/10페이지)
환단고기 원전 (원문/해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95 출전 상생문화1 205 2024.02.16 04:26
194 태백일사 : 태백일사 발문 상생문화1 276 2024.02.16 02:31
193 태백일사 : 고려국본기 14 고려 말 옛 영토 회복 시도 상생문화1 205 2024.02.16 02:30
>> 태백일사 : 고려국본기 13 고려의 제천문 상생문화1 195 2024.02.16 02:22
191 태백일사 : 고려국본기 12 인물 정지상 상생문화1 197 2024.02.15 02:25
190 태백일사 : 고려국본기 11 행촌 이암의 역사의식 상생문화1 203 2024.02.15 02:18
189 태백일사 : 고려국본기 10 후암 이존비 상생문화1 197 2024.02.15 02:14
188 태백일사 : 고려국본기 9 고려의 북방영토 상생문화1 190 2024.02.15 02:07
187 태백일사 : 고려국본기 8 윤관의 여진 정벌 상생문화1 201 2024.02.13 01:22
186 태백일사 : 고려국본기 7 서희 장군과 소손녕의 담판 상생문화1 194 2024.02.13 01:16
185 태백일사 : 고려국본기 6 왕건의 즉위와 궁예의 최후 상생문화1 201 2024.02.13 01:12
184 태백일사 : 고려국본기 5 궁예의 후고구려 건국 상생문화1 192 2024.02.13 01:09
183 태백일사 : 고려국본기 4 왕륭의 귀순과 이훤의 후백제 건국 상생문화1 216 2024.02.07 01:56
182 태백일사 : 고려국본기 3 궁예의 출생과 양길과의 만남 상생문화1 206 2024.02.07 01:53
181 태백일사 : 고려국본기 2 고구려 왕족의 후손, 궁예 상생문화1 212 2024.02.07 01:49
180 태백일사 : 고려국본기 1 고려 태조의 훈요십조 상생문화1 217 2024.02.07 01:43
179 태백일사 : 대진국본기 11 대진국의 멸망 상생문화1 212 2024.02.05 01:29
178 태백일사 : 대진국본기 10 발해 유민의 대진국 부흥운동 상생문화1 254 2024.02.05 01:26
177 태백일사 : 대진국본기 9 옛 일본의 여러 나라 상생문화1 215 2024.02.05 01:11
176 태백일사 : 대진국본기 8 의려국 임금이 일본으로 건너가 왕이 됨 상생문화1 244 2024.02.02 01:48
EnglishFrenchGermanItalianJapaneseKoreanPortugueseRussianSpanishJavane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