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단고기 원전 (원문/해석)

태백일사 : 고구려국본기 17 당 태종 이세민의 대침략

상생문화1 | 2024.01.26 01:21 | 조회 303

태종 이세민의 대침략


開化四年唐主李世民謂群臣曰 遼東 本諸夏之地어늘

隋氏四出師而不能得하니 予今出兵欲爲報諸夏子弟之讐 하고

世民 親佩弓矢하고 世勣·程名振等數十萬하야 하니

二百餘里 人馬可通이라 都尉馬文擧 策馬奔擊하야 旣合戰이러니

行軍摠管張君叉 大敗하니 道宗 收散軍하고 世民 自將百騎하야

與世勣으로 하야 攻白岩城西南하니 城主孫代音 詐遣請이나

而實 欲乘反擊이라.

 

개화開化 4(28 보장제, 단기 2978, 645), 당나라 이세민15) 여러 신하에게 말했다.

요동은 본래 우리 중국 16)이다. 수나라가 번이나 군사를 일으켰으나 그곳을 얻지 못하였다. 내가 이제 출병하여 우리 자제子弟들의 원수를 갚고자 하노라.

이에 세민이 친히 활과 화살을 메고 이세적世勣, 정명진程名振 수십만을 거느리고 요택 이르렀다. 진창이 200 리나 되어 인마人馬 통과할 없었다. 도위都尉 마문거馬文擧 채찍으로 말을 치며 돌진하여 맞붙어 싸웠고, 행군총관 장군차張君叉 대패하니 이도종道宗 흩어진 군사를 수습하였다.

세민이 스스로 수백 기병을 거느리고 세적과 합세하여 백암성白岩城 서남쪽을 공격하였다. 성주 손대음孫代音 거짓으로 사람을 보내 항복을 청하였으나 실은 빈틈을 타서 반격하려는 것이었다.

 

世民 至安市城하야 先自唐山으로 進兵攻之 北部褥薩高延壽

南部褥薩高惠眞 率官兵 及靺鞨兵十五萬하야 引至直前하고

安市爲壘하야 據高山之險하며 食城中之粟하야 縱兵其軍馬하니

唐奴敢犯이오 欲歸 則泥爲阻하야 坐困必敗

延壽 引軍直前以進하니 去安市四十里 遣人하야 問於對盧高正義하니

以其年老習事也. 正義曰 世民內芟群雄하야 化家爲國하니 이라

今據全唐之兵而來하니 其銳 可輕也

 

세민이 안시성에 이르러 먼저 당산唐山으로부터 군사를 진격시켜 공격하였다. 북부 욕살 고연수高延壽 남부 욕살 고혜진高惠眞 관병과 말갈 군사 15만을 거느리고 안시성에 도착하여, 주저없이 바로 앞으로 나아가 안시성과 연결되는 보루(작은 ) 쌓고 높은 산의 험준한 곳을 차지하였다. 성중의 곡식을 먹으면서 군사를 풀어 당나라 군마를 빼앗았다. 당나라 군사가 감히 덤벼들지 못하고, 돌아가려 해도 진창에 가로막혀 그냥 주저앉아 괴로워하며 패할 수밖에 없었다.

연수가 군사를 이끌고 곧장 전진하여 안시성과 40리쯤 떨어진 곳에 이르러 사람을 보내어 대로對盧 고정의高正義에게 대책을 물었다. 이는 고정의가 연륜이 깊어 일처리에 능숙하기 때문이었다.

정의가 대답하였다. 세민이 안으로 군웅群雄 제거하고 나라를 차지하였으니 역시 범상한 인물이 아니오. 지금 모든 당나라 군사를 이끌고 왔으니 예봉銳鋒 가벼이 여겨서는 되오.

 

爲吾計者 莫若頓兵不戰하고 曠日持久하야 分遣奇兵하야 斷其

道旣盡이면 求戰不得이오 欲歸無路리니 乃可勝也.

延壽 從其計하야 賊來則拒하고 賊去則止하며 又遣奇兵하야

焚奪하니 世民 百計誘之以賄 面從而內違하야 遣陰襲陷하니

賊之死傷 酷多.

 

우리 계책은 병력을 움직이지 말고 싸우지 않으며, 여러 날을 끌면서 기습부대를 나누어 보내 군량을 운반하는 길을 끊는 것이 가장 좋소. 양식이 떨어지면 싸울래야 싸울 없고 돌아가려 해도 길이 없을 것이니, 반드시 이길 것이오.

연수가 계책을 좇아 적이 오면 막고, 물러가면 움직이지 않았다. 기습 부대를 보내어 군량을 불태우고 빼앗았다.

세민이 온갖 계략으로 뇌물까지 쓰며 꾀었으나, 겉으로 따르는 척하고 속으로 거부하여 자주 군사를 내어 몰래 습격하고 함락시켜 흩어지게 하니 적군의 사상자가 매우 많았다.

 

延壽等 與靺鞨 合兵爲陣하고 持久作戰이라가

一夜豹變하야 急襲電擊하니 世民 幾被圍迫하야 始有懼色이라

世民又復遣使하야 懷財寶하고 謂延壽曰 我以貴國强臣弑其君上故

來問罪至於交戰하야 入貴境

給故 間有焚幾處而已 俟貴國修禮納交則必復矣 한대

 

연수 등이 말갈병과 더불어 함께 진을 치고 지구전을 펴다가, 어느날 돌변하여 번개같이 습격하니, 거의 포위를 당하게 세민이 비로소 두려운 빛을 보였다.

세민이 다시 사자를 보내어 재물과 보화로 달래며 연수에게 이렇게 말했다.

나는 귀국貴國 있는 신하(연개소문) 임금을 시해하였기로 이렇게 와서 죄를 묻는 것이다. 이제 귀국에 들어와 전쟁을 하는데 먹일 꼴과 식량을 공급할 없어 곳을 불태우고 노략질을 했을 뿐이다. 귀국이 예를 갖추어 수교를 기다린다면 반드시 돌아갈 것이다.

延壽曰 諾 退貴兵三十里則吾將帝矣리라 이나 莫離支

爲國柱石이오 軍法自在하니 須多言이오 汝君世民 廢父弑兄하고

淫納弟妃하니 此可問罪也 以此傳之어다

於是四遣督察하야 益加守備하고 依山自固하야 乘虛奇襲하니

世民 百計無術하야 痛恨東出兵之 而已悔無及焉이러라.

 

이에 연수가 말하였다.

좋다. 그대들 군사가 30리를 물러난다면 내가 장차 우리 황제(보장제) 만나 뵈리라. 그러나 막리지는 우리나라의 주석柱石이고, 군법이 있으니 여러 말이 필요 없다. 너희 임금 세민은 아버지를 폐하고 형을 죽이고, 음란하게도 아우의 아내를 취하였으니 이것이야말로 가히 죄를 물을 만하다. 이대로 전하여라.

이에 사방으로 감찰관을 보내어 수비에 더욱 힘쓰게 하고, 산을 의지해 스스로 견고히 하고 적의 허점을 틈타 기습하였다.

세민이 온갖 꾀를 내어 보아도 아무 방법이 없었다. 요동으로 출병하여 전쟁에 것을 몹시 한탄하였으나, 후회해도 소용이 없었다.

 

公權小說 爲高句麗所乘하야 殆將不振하고

候者告英公之麾 黑旗被圍 한대 世民 大恐이라 하니 雖終自脫이나

而危懼如彼어늘 新舊唐書及司馬公通鑑言者 豈非爲國諱.

世勣 言於世民曰 建安 在南하고 安市 在北하니 吾軍糧

早已失輸遼東今昌黎이어늘 安市而攻建安이라가 若高句麗

斷其이면 勢必窮矣리니 若先攻安市 安市下則鼓行而取建安耳로이다.

 

류공권柳公權 소설에, 당나라의 6六軍 고구려가 세를 타게 되자 장수들이 전공을 떨치지 못하였고, 척후병이 와서 영공英公(이세적) 군기가 흑기에 포위당했다고 보고하니, 세민이 크게 두려워하였다라고 쓰여 있다.

이세민이 비록 끝내 탈출하였으나 위태롭고 두려워함이 이러하였던 것이다. ·구당서新舊唐書 사마공司馬公 통감通鑑 이러한 사실을 적지 않은 것은, 어찌 자기 나라를 위해서 수치스런 일을 숨기려 [爲國諱恥] 아니겠는가?

이세적이 세민에게 말하기를,

건안建安 남쪽에 있고 안시는 북쪽에 있습니다. 아군의 군량은 이미 요동(지금의 창려)으로 수송할 길을 잃었습니다. 지금 안시를 넘어 건안을 치다가 만약 고구려가 군량을 수송하는 길을 끊는다면 대세가 반드시 궁하게 것이니 먼저 안시를 치는 것만 못할 것입니다. 안시가 함락되면 북을 두드리며 여유있게 가서 건안을 빼앗으면 것이옵니다라고 하였다.

 

安市城人 望見世民旗蓋하고 輒乘城鼓하야 唾罵世民하고 數其罪目하야

以告于衆하니 世民 怒氣極甚하야 以爲陷城之日 男女 盡坑之 하니

安市城人聞之하고 益堅守하야 攻之러라. 張亮兵 在沙卑城이나

而欲召之未果하야 低回失機하고 張亮 將移兵하야 襲烏骨城이라가

反爲官兵所敗李道宗 亦在遭險不振하니 於是 唐奴諸將

議自相하야 世勣 獨以爲高句麗 國救安市하니

若捨安市而直平壤이라 하고

 

안시성 사람들이 멀리서 세민의 깃발과 일산을 바라보고, 성에 올라 북을 치고 고함을 질렀다. 침을 뱉으며 세민을 욕하고 죄목을 하나하나 짚어가며 군중에게 고하니 세민이 노기가 극도에 달하여, 성이 함락되는 날에는 남녀 모두 생매장시킬 것이라 하였다. 안시성 사람들이 말을 듣고 더욱 굳건히 지키므로 공격을 해도 함락되지 않았다.

이때에 수군 제독 장량張亮 군사는 사비성沙卑城 있었는데 그들을 부르려다 시행하지 못하고 망설이는 사이에 기회를 잃고 말았다. 장량은 병력을 이동시켜 오골성烏骨城 습격하려 하였으나 오히려 관병에게 패하고 말았다.

이도종道宗 역시 험준한 길을 만나 군세를 떨치지 못했다. 상황이 여기에 이르자 당나라 여러 장수의 의견이 서로 갈라졌다. 세적은 홀로, 고구려는 나라의 힘을 기울여 안시성을 구하려 하니, 안시를 버리고 곧장 평양을 치는 것만 못하다 생각하였다.

 

長孫無忌 以爲天子親征 異於諸將하야 可乘危이니

今建安新城之敵衆 數十萬이오 高延壽所率靺鞨 亦數十萬이니

國內城兵 若又回烏骨城하야 而遮浪諸路之險이면 如是則彼勢日盛하야

急於迫圍 而我翫敵이라가 悔無及焉하리니 如先攻安市하고

次取建安然後 長驅而進 此萬全之計也 하야 未之이라.

安市城主楊萬春聞之하고 乘夜深하야 以數百精銳縋城而下하니 賊陣

自相踐踏하야 殺傷甚多 世民 使道宗으로 築土山於城東南隅러니

官兵 從城缺出擊하야 遂奪土山하고 塹而守之하야 軍勢益振하니 唐奴諸陣

殆失戰意 傅伏愛 以戰敗 하고 道宗以下 皆徒跣請罪.

 

장손무기長孫無忌 이렇게 생각하였다. 천자가 친히 정벌에 나섬은 장수들과는 달리 위험을 무릅쓰고 요행을 바라서는 된다. 지금 건안建安·신성新城 있는 적군의 무리가 수십만이요, 고연수가 거느린 말갈 군사 또한 수십만이다. 만약 국내성 군사가 오골성을 돌아서 낙랑의 모든 길의 험한 곳을 차단한다면, 적의 기세가 날로 강성해져 우리를 포위하고 압박하여 급하게 것이다. 우리가 적을 갖고 놀려고 하다가는 뉘우쳐도 소용없을 것이다. 먼저 안시를 공격하고 다음에 건안을 취하는 것만 못할 것이다. 다음에 멀리 적을 몰아 쫓으며 진격하는 것이 만전의 계책이다. 문제가 아직 결론이 나지 않았는데, 안시성주 양만춘이 사정을 듣고 야밤을 틈타 수백 명의 정예 군사를 거느리고 성에서 줄을 타고 내려가 공격하였다. 적진에서는 서로 짓밟혀 죽고 상처를 입은 자가 매우 많았다.

세민이 이도종을 시켜 성의 동남쪽 모퉁이에 흙으로 산을 쌓게 하였는데 우리 군사가 귀퉁이가 무너진 곳으로 나와 쳐서 드디어 토산을 빼앗았다. 거기에 참호를 만들어 지키니 군세를 더욱 떨쳤다. 이리하여 당나라 모든 진영은 싸울 생각을 거의 잃어버렸다. 부복애傅伏愛 패전 책임으로 참수당하고, 도종과 부하들은 모두 맨발로 나아가 죄를 인정하고 처벌을 기다렸다.

 

莫離支 率數百騎하고 巡駐하야 詳問情形이오 遣命摠攻四擊할새

延壽等 與靺鞨 夾攻하고 楊萬春 登城督戰하니 士氣益奮하야

無不一當百矣世民自勝하야 敢出이나 楊萬春 乃呼聲張弓하야

世民 出陣이라가 矢浮半空하니 遂爲所中하야 左目沒焉이라

世民窮無所措하야 從間逃遁할새 命世勣道宗하야 將步騎數萬하야

爲殿하니 澤泥하야 軍馬難行이라 命無忌하야 將萬人하야 剪草塡道하고

水深處以車爲梁하고 世民自繫薪於馬하야 以助役하니라

冬十月 至蒲吾渠하야 駐馬하고 督塡道하며 諸軍 渡渤錯水할새

暴風雪占濕하야 士卒多死者어늘 使燃火於道하야 以待之.

 

막리지(연개소문) 기마병 수백을 거느리고 순시하다가 난하 언덕에서 멈추고 전황을 자세히 물은 뒤에, 사방에서 총공격하라고 명하였다. 연수 등이 말갈 군사와 함께 양쪽에서 협공하고, 양만춘이 성에 올라 싸움을 독려하니 사기가 더욱 높아져서, 하나가 백을 당하는 용맹을 보이지 않는 자가 없었다.

세민이 스스로 울분을 참지 못하고 감히 나서서 결판을 내려 하였다. 이때 양만춘이 소리를 지르며 활시위를 팽팽하게 당겼다. 세민이 진을 나서다가, 공중을 가르며 날아온 화살에 적중되어 왼쪽 눈이 빠져 버렸다.

세민이 어찌 바를 모르고 군사들 틈에 끼어 달아나며, 세적과 도종에게 명하여 보병·기병 수만 명을 거느리고 후군으로 따르게 하였다.

요택에 이르자 진창 때문에 군마의 행군이 어려워 장손무기에게 명하여 1 명을 거느리고 풀을 베어서 길을 메우고 물이 깊은 곳은 수레로 다리를 만들게 하였다. 세민 자신도 스스로 말채찍으로 땔나무를 묶어 일을 도왔다.

겨울 10월에, 포오거蒲吾渠 이르러 말을 쉬게 하고 메우는 일을 독려하였다.

모든 군사가 발착수渤錯水 건널 때에 거센 눈보라가 몰아쳐 군사들을 적시니 죽는 자가 많았다. 이에 길에 불을 피우게 하고 기다렸다.

莫離支淵蓋蘇文 乘勝長驅하야 追之甚急하니 鄒定國 自赤峰으로

至河間縣하고 楊萬春 直向新城하야 軍勢大振하니 唐奴多棄甲兵而走하야

方渡易水莫離支命延壽하야 改築桶道城하니 今高麗鎭也 又分遣諸軍하야 一軍 東城하니 今昌黎也 一軍 隨世民하고

一軍 守上谷하니 今大同府也.

於是世民 窮無所措하야 乃遣人乞하니 莫離支

率定國萬春等數萬騎하야 盛陳儀仗하고 鼓吹前導하야 入城長安하야

與世民으로 하니 山西·河北·山東·江左 悉屬於我.

 

이때 막리지 연개소문이 싸움에 이긴 김에 계속 휘몰아쳐서 급히 이들을 뒤쫓았다. 추정국鄒定國 적봉赤峰에서 하간현河間縣 이르고, 양만춘은 곧바로 신성新城 향하며 군세를 크게 떨쳤다. 많은 당나라 군사가 갑옷과 무기를 버리고 달아나, 바야흐로 역수易水 건너려 하였다.

이때 막리지가 연수에게 명하여 용도성桶道城 개축하게 하였는데, 용도성은 지금의 고려진이다. 전군을 나누어 보내되, 일군은 요동성을 지키게 하니 그곳은 지금의 창려昌黎이고, 일군은 세민의 뒤를 바짝 쫓게 하고, 일군은 상곡上谷 지키게 하니 상곡은 지금의 대동부大同府이다.

이에 세민이 궁지에 몰려 어찌할 바를 모르고 사람을 보내어 항복을 받아 달라고 애걸하였다. 막리지가 정국, 만춘 등의 기병 수만을 거느리고 성대하게 의장을 갖추어 치고 나팔 부는 군악대를 앞세우고 장안에 입성하였다. 세민과 더불어 약정約定하여, 산서성·하북성·산동성·강좌江左 모두 고구려에 속하게 되었다.

twitter facebook kakaotalk kakaostory 네이버 밴드 구글+
공유(greatcorea)
도움말
사이트를 드러내지 않고, 컨텐츠만 SNS에 붙여넣을수 있습니다.
195개(2/10페이지)
환단고기 원전 (원문/해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75 태백일사 : 대진국본기 7 역대 황제의 연호와 주요 지명 상생문화1 354 2024.02.02 01:45
174 태백일사 : 대진국본기 6 대진의 통치 영역과 신교의 생활화 상생문화1 238 2024.02.02 01:43
173 태백일사 : 대진국본기 5 문황제의 치적 상생문화1 254 2024.02.02 01:38
172 태백일사 : 대진국본기 4 해동성국 상생문화1 239 2024.01.31 01:50
171 태백일사 : 대진국본기 3 대진과 남북국 시대 상생문화1 231 2024.01.31 01:46
170 태백일사 : 대진국본기 2 대조영의 옛 고구려 영토 회복과 대진 건설 상생문화1 258 2024.01.31 01:43
169 태백일사 : 대진국본기 1 대중상의 후고구려 건국 상생문화1 233 2024.01.31 01:38
168 태백일사 : 고구려국본기 24 왜와 고구려의 관계 상생문화1 257 2024.01.29 01:12
167 태백일사 : 고구려국본기 23 신라의 기원과 박혁거세의 혈통 상생문화1 265 2024.01.29 01:09
166 태백일사 : 고구려국본기 22장 백제의 시조와 건국 과정 상생문화1 271 2024.01.29 01:07
165 태백일사 : 고구려국본기 21 개국공신 연타발 상생문화1 256 2024.01.29 01:04
164 태백일사 : 고구려국본기 20 요서 10성 상생문화1 254 2024.01.29 01:02
163 태백일사 : 고구려국본기 19 요동과 요서의 고구려 영토 상생문화1 404 2024.01.29 00:58
162 태백일사 : 고구려국본기 18 중국 본토까지 뻗었던 백제의 영토 상생문화1 264 2024.01.26 01:25
>> 태백일사 : 고구려국본기 17 당 태종 이세민의 대침략 상생문화1 304 2024.01.26 01:21
160 태백일사 : 고구려국본기 16 고조선 땅 회복을 위한 외교 정책 상생문화1 261 2024.01.26 01:17
159 태백일사 : 고구려국본기 15 연개소문의 생애와 대인의 풍모 상생문화1 271 2024.01.26 01:15
158 태백일사 : 고구려국본기 14 연개소문의 강렬한 주체 정신 상생문화1 263 2024.01.25 01:39
157 태백일사 : 고구려국본기 13 고구려·백제의 통치 영역과 수 문제의 대침 상생문화1 251 2024.01.25 01:36
156 태백일사 : 고구려국본기 12 신교를 대각한 을지문덕 장군의 큰 공적 상생문화1 289 2024.01.25 01:31
EnglishFrenchGermanItalianJapaneseKoreanPortugueseRussianSpanishJavane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