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대회논문
			75개(8/8페이지)
					
		
		
								5							
					
						
			
				
					한국사상의 원형과 특질(Archetype and Characteristi
									
												
			
			
		
					이 글은 ‘철학적’ 차원에서 한국사상의 원형을 탐색하고 그 특질을 뽑아 유형화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작성되었다.				
				
					2022.08.17, 
					
					작성자:최영성(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수), 					작성일:2022. 8. 17., 					조회수:9181
														
				
			
								4							
					
						
			
				
					한국의 산신문화(The Shanshin Culture of Korea)
									
												
			
			
		
					옛 한국인들은 산신에 대한 믿음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믿음은 산신들을 모신 산신각이나 산신 그림으로 확인될 수 있는데 산신각은 불교사원에도 수용되었다. 산신 신앙은 한국사회의 근대화에도 쇠퇴하지 않고 여전히 살아 있으며 심지어 살아 있는 전통으로서 번성하고 있다.				
				
					2022.08.11, 
					
					작성자:Davis Mason, 					작성일:2022. 8. 11., 					조회수:10614
														
				
			
								3							
					
						
			
				
					조선 도교와 증산사상(Taoism of Joseon and the Jeu
									
												
			
			
		
					이 글은 강증산이 태어나고 그의 사상이 잉태된 전라북도 호남 서부의 도교(선가仙家) 전통이 전승되는 과정과 그것이 강증산의 사상에 끼친 영향을 주로 논구한다.				
				
					2022.07.25, 
					
					작성자:김성환, 					작성일:2022. 7. 25., 					조회수:9770
														
				
			
								2							
					
						
			
				
					시베리아의 샤머니즘 전통과 삼신문화(The Shamanistic Trad
									
												
			
			
		
					시베리아 샤머니즘은 고대에 뿌리를 두고 있다. 그 기원은 고대에 사라졌다. 삼신의 전설과 신념도 그렇다.				
				
					2022.07.19, 
					
					작성자:Chingis AKhanyanov , 					작성일:2022. 7. 19., 					조회수:11703
														
				
			
								1							
					
						
			
				
					인도의 삼신관 (The View of Triadic God of Indi
									
												
			
			
		
					힌두교에서도 삼신관을 확인할 수 있다. 우주의 창조를 맡을 때는 브라흐마로, 유지자의 역할을 할 때는 비슈누로, 파괴자일 때는 시바로 나타난다				
				
					2022.07.14, 
					
					작성자:G. Sudhakar, 					작성일:2022. 7. 14., 					조회수:1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