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대회논문
58개(2/6페이지)
48
우주의 주재자 상제
신은 원초적인 본유관념本有觀念이다. 본유관념으로 인해 인간은 우주자연의 장엄함과 숭고함이 신의 연출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태고적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인간은 한결같이 천체天體가 신성하고, 신성한 것이 자연 전체를 감싸고 있다는 것,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모든 것들이란 신들과 유사하며 신의 화현化現이라고 믿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2023.04.03,
작성자:문계석(상생문화연구소), 조회수:1456
47
조선조 유학자들의 신선문화에 관한 연구
유가가 제시한 삼강오륜 및 예법에서부터 자유롭지 못한 조선조 유학자들은 도교에서 추구하고자 한 方外적 신선문화를 제한적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이에 도교의 신선관에서 제시하는 장생불사를 인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逸趣 및 탈속을 통해 신선처럼 사는 즐거움을 찾고자 했다.
2023.03.30,
작성자:조민환(성균관대학교), 조회수:593
46
조선후기에 유행한 신선도의 전개 양상과 도교적 생명관 2
조선후기 <신선도>의 소재들은 대부분 서왕모와 신선, 그리고 자연물들로 구성되었다.
2023.03.28,
작성자:김정은(성균관대학교), 조회수:731
45
조선후기에 유행한 신선도(神仙圖)의 전개 양상과 도교적 생명관 1
조선후기 이러한 <신선도>의 유행은 유교사회의 역기능의 결과 생명질서가 균형을 잃게 되어 비롯된 현상이며 생명의 위기에서 인간 본래의 생명의 본향인 자연으로 돌아가 치유하고 싶은 바램이 생명 미의식으로 표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2023.03.28,
작성자:김정은(성균관대학교), 조회수:869
44
The Eight Immortals in Joseon Dynasty Pa
Images of the Eight Immortals were an essential part of the genre Sinseondo (Paintings of Immortals) of the late Joseon period.
2023.03.23,
작성자:Nelly Russ(Korea University), 조회수:2187
43
조선시대의 신선문화
서왕모는 중국 신화의 저명한 여신으로 고대부터 지금까지 중화권에서 숭배되고 있는 신령이다. 이 신은 고대 신화에서는 여신이었으나 후대에 도교가 성립되자 여선(女仙)으로 변모한 궤적을 지니고 있다. 그런데 현대의 한국에서는 이름조차 잊혀진 이 여신이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전통 시기 한국문화의 각 방면에서 끊임없이 출현해왔다.
2023.03.23,
작성자:정재서(영산대 석좌교수), 조회수:2807
42
두광정의 수도론
도교의 양생론은 형신쌍수, 양성, 성명쌍수 등 세 단계의 변화과정을 거친다. 두광정의 수도론은 양성에서 성명쌍수로 전환하는 시기의 도교의 양생론을 대표한다.
2023.03.20,
작성자:김태용(한양대 철학과) , 조회수:1074
41
당대唐代 『전기傳奇』에 나타난 도교 수행론 탐구
‘기이한 이야기를 전하다’는 의미를 가진 ‘전기傳奇’는 당나라의 문학 양식 가운데 하나이다. 당나라 후기의 배형裵鉶이 그의 소설小說 모음을 『전기』라고 부르기 시작하면서 비로소 ‘전기’라는 명칭이 등장하였다.
2023.03.20,
작성자:나우권(고려대학교), 조회수:1364
40
구처기와 용문파 수행법
구처기의 내단수련학은 종리권(鍾離權), 여동빈(呂洞賓), 장백단(張伯端) 이 세 사람의 내단설을 집대성한 것이다. 《대단직지(大丹直指)》에 실려 있는 ‘명(命)의 수련’ 방법은 크게 세 단계로 나누는데: 정(精)을 연마하여 ‘기(氣)’를 변화(鍊精化氣)하는 ‘감리교접(坎離交媾)’, 기(氣)를 연마하여 ‘신(神)’을 변화(鍊氣化神)하는 ‘수화기제(水火既濟)’...
2023.03.20,
작성자:샤오등푸(대만 타이쭝 과학기술대학교 응용중문학과 교수), 조회수:859
39
명대 소설 『봉신연의封神演義』에 표현된 신선·도교문화
『봉신연의封神演義』는 명대에 지어져 대중의 큰 사랑을 받았던 장편소설로, 현대에 이르러 대문호 루쉰魯迅에 의해 ‘신마소설神魔小說’이라는 용어로 규정된 이래 『서유기西遊記』와 함께 주요 신마소설 작품으로 인식되어 왔다. 명대에는 이미 삼교합일의 경향이 보편화되어있음에도 여전히 신선·도교문화가 『봉신연의』 소설 창작에 있어 중요한 서사적 상상력으로 작용하였다....
2023.03.16,
작성자:유수민(카이스트), 조회수:1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