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개(1/3페이지)
24
서양철학사상 6 | 4. 실재론에서 관념론으로의 전향
[철학산책]서양철학사상 | 4. 실재론에서 관념론으로의 전향 4. 실재론에서 관념론으로의 전향1) 중세에서 벌어진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간의 논쟁암흑기로 접어든 학문“로마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말이 있다. 알렉산더 대왕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마케도니아 제국이 무너지면서 이탈리아 반도 북쪽의 조그만 도시국가였던 로마는 점차 세력을 키워 오랜 세월에...
2019.12.26,
작성자:문계석 박사, 작성일:2019.12.26;., 조회수:4022
23
[철학산책] 5 | 서양철학사상 | 실재reality를 찾아 나선 사람들
[철학산책] 5서양철학사상 | 실재reality를 찾아 나선 사람들(4)3) 형이상학의 아버지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아테네의 이방인아리스토텔레스는 누구인가? 그는 그리스의 북부 마케도니아의 왕국 작은 도시 스타게이라에서 기원전 384년에 태어났다. 아버지 니코마코스는 대를 이어 의학에 종사했고, 어머니 파이스티스 또한 의사 집안 출신이었다. ...
2019.10.10,
작성자:문계석 연구위원, 작성일:2019.10.l10., 조회수:4342
22
철학샌책 4 | 서양철학사상 | 실재reality를 찾아 나선 사람들(3
[철학산책]서양철학사상 | 실재reality를 찾아 나선 사람들(3)문계석 / 상생문화연구소 (서양철학부)3-2. 인문개벽의 근본은 형이상학적 실재론1) 최초로 인문개벽을 주도한 사람들전쟁의 승리로 도입된 최초의 민주제강력한 페르시아 제국을 건설한 다레이오스Dareios(BCE 550~486) 1세는 식민지 개척에 나선다. 그리스의 식민시였던 이오니아 지방...
2017.12.28,
작성자:문계석 연구위원, 작성일:2017.12.28., 조회수:4319
21
철학산책 3 | 서양철학사상 | 실재reality를 찾아 나선 사람들(2
[철학산책]서양철학사상 | 실재reality를 찾아 나선 사람들(2) 문계석 / 상생문화연구소 (서양철학부)【원자론과 근대의 물리적 실재론】1) 실재와 생성의 대립을 해결한 다원론多元論초기 자연철학자들의 탐구결말은 두 방식으로 가닥이 잡힌다. 하나는 정태적인 방식에서 탐구한 파르메니데스Parmenides의 실재세계다. 그는 실재하는 아르케arche를 불변부...
2017.11.22,
작성자:문계석 연구위원, 작성일:2017.11.22., 조회수:4777
20
철학산책2 | 서양철학사상 | 실재reality를 찾아 나선 사람들(1)
[철학산책]서양철학사상 | 실재reality를 찾아 나선 사람들(1)大一其極(대일기극)이여 是名養氣(시명양기)라 광대한 하나의 지극함이여, 이를 양기라 부르나니無有而混(무유이혼)하고 虛粗而妙(허조이묘)로다 없음과 있음이 혼재하고, 텅빔과 거칠게 있음이 오묘하구나 三一其體(삼일기체)오 一三其用(일삼기용)이니 셋은 하나를 그 체로 하고 하나는 셋을...
2017.09.13,
작성자:문계석 연구위원, 작성일:2017.9.13., 조회수:3525
19
철학산책 1. 서양철학사상 | 철학은 아무나 하나
서양철학사상 | 철학은 아무나 하나문계석 / 상생문화연구소 (서양철학부)현대의 인류는 지식의 홍수 속에 살고 있다. 알고 싶은 것이 있다면 인터넷, 스마트폰 등의 매체를 통해서 원하는 버튼만 누르면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심지어 공영 텔레비전에서는 건강과 생활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 정치 및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는 사안들에 대한 전문가들의...
2017.08.16,
작성자:문계석 연구위원, 작성일:2017.8.16., 조회수:5173
18
■금주의 한자 17회 千慮一得천려일득
금주의 한자17회 千慮一得천려일득 금주의 한자 ‘천려일득千慮一得’에서,‘千천’은 숫자 1000이나 여기서는 매우 많음을 뜻한다. ‘千載一遇천재일우’란 말이 있는데, ‘천 년에 한 번 만나다’는 뜻으로, 오랜 세월 동안 만나기 어려운 좋은 기회를 형용하는 말이다. 여기서 ‘실을 재載’ 자는 ‘해 년年’, ‘해 세歲’ 자와 같은 뜻이고, ‘...
2016.12.21,
작성자:이재석 연구위원, 작성일:2016.12.21., 조회수:3841
17
■금주의 한자 16회口蜜腹劍구밀복검
■금주의 한자 16회 口蜜腹劍구밀복검 금주의 한자 ‘口蜜腹劍구밀복검’에서‘口구’는 ‘입’을 말한다. 우리말에서 ‘입에서 나는 나쁜 냄새’ 즉 ‘입구린내’는 ‘냄새 취臭’ 자와 결합된 ‘口臭구취’라고 표현하고, ‘말솜씨’는 ‘말 잘할 변辯’ 자와 결합된 ‘口辯구변’ 또는 ‘말씀 언言’ 자를 쓰는 ‘言辯언변’이라는 말을...
2016.12.07,
작성자:이재석 연구위원, 작성일:2016.12.7., 조회수:3988
16
금주의 한자 15회 武陵桃源무릉도원
■금주의 한자 15회 武陵桃源무릉도원 금주의 한자 武陵桃源무릉도원에서,‘武무’는 ‘文문’에 상대되는 개념으로, 병기와 전쟁에 관한 일을 가리킨다. 이 글자를 보통 ‘호반 무’ 자로 훈을 하는데, ‘호반虎班’이란 무관의 반열을 말한다. ‘범 호虎’ 자는 ‘용맹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어 ‘무인武人’을 가리킨다. 옛날에 ...
2016.10.26,
작성자:이재석 연구위원, 조회수:3811
15
금주의 한자 14회 一葉蔽目일엽폐목
***금주의 한자 14회 一葉蔽目일엽폐목 금주의 한자 ‘漁父之利어부지리’에서‘一일’은 숫자 1이다. ‘아침 조朝’ 자, ‘저녁 석夕’ 자와 결합된 ‘一朝一夕일조일석’은 ‘하루아침, 하루저녁’이란 뜻으로 매우 시간이 짧음을 형용하는 말이다.‘葉엽’은 초목의 잎을 말한다. ‘글 서書’ 자와 결합된 ‘葉書엽서’는...
2016.08.29,
작성자:이재석 연구위원, 작성일:2016.8.29., 조회수:4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