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3개(10/18페이지)
83
유목민 이야기 제47회 킵차크 한국의 계승국가들
◆유목민 이야기 제47회 킵차크 한국의 계승국가들 금장(킵차크) 한국은 1420년대와 1430년대 그 지배층의 내란으로 분열의 길을 걷게 되었다. 예전에도 여러 칸들의 분립한 일이 있었지만 그 분열은 지속적이지는 않았다. 15세기 초반에 일어난 분열로 금장한국은 완전히 여러 나라로 분할되었다. 이러한 분열의 주역들은 모두 ...
2018.07.11,
작성자:김현일 연구위원, 작성일:2018.7.11., 조회수:2148
[역사와 문명]
82
■유목민 이야기 46회 모스크바 대공국
■유목민 이야기 46회 모스크바 대공국 타타르의 지배 즉 킵차크 한국의 지배를 떨치고 러시아에 해방을 가져다 준 것이 모스크바 공국이다. 모스크바 공국은 이후 러시아 역사의 주역이 된다. 모스크바 대공이 전 러시아의 차르(황제)가 되어 러시아를 통일시키고 대외적으로는 영토를 크게 확대하였다. 러시아 제국은 16세기 후반 남러시아 스텝 지...
2018.06.07,
작성자:김현일 연구위원, 작성일:2018.6.7., 조회수:2279
[역사와 문명]
81
■유목민 이야기 45회 타타르의 멍에
■유목민 이야기 제45회 타타르의 멍에 러시아인들은 1240년부터 1480년에 걸쳐 몽골의 지배를 받았다. 고려가 1231년부터 1360년경까지 130년간 지배받은 것보다 백년 이상 더 몽골의 지배를 받았다. 러시아인들은 이러한 몽골의 지배를 ‘타타르의 멍에’(타타르스코에 이고)라고 부른다. 타타르는 원래는 몽골 초원지대에 살던 투르크계의 ...
2018.05.16,
작성자:김현일 연구위원, 작성일:2018.5.16., 조회수:2215
[역사와 문명]
80
■유목민 이야기 44회 최초의 북경 대주교 몬테코르비노(1247-1328
■유목민 이야기 제44회 최초의 북경 대주교 몬테코르비노(1247-1328) 몽골 제국과 서방 세계와의 꾸준한 외교적 접촉은 13세기 말 중국 가톨릭 교구의 설립을 낳았다. 교황청이 파견한 이탈리아 출신의 프란체스코 수도회 소속의 사제인 조반니 다 몬테코르비노가 칸발릭(북경)에 가서 중국 교구를 설립한 것이다. 이는 기...
2018.04.27,
작성자:김현일 연구위원, 작성일:2017.04.27., 조회수:1927
[역사와 문명]
79
■유목민 이야기 43회 페골로티의 《상업편람》
■유목민 이야기 43회 페골로티의 《상업편람》 프란체스코 페골로티(Francesco Pegolotti, 1290-1347)는 피렌체의 무역회사이자 은행이었던 ‘바르디 상사’(Compagnia dei Bardi)의 직원이었다. 유명인사는 아니다. 그러나 그는 네덜란드의 안트베르펜, 영국 런던 그리고 키프로스에서 바르디 상...
2018.04.20,
작성자:김현일 연구위원, 작성일:2018.4.20., 조회수:2016
[역사와 문명]
78
■유목민 이야기 42회 랍반 소마와 랍반 마르코스
■유목민 이야기 42회 랍반 소마와 랍반 마르코스 훌레구 칸의 아들 아바카 칸(재위 1265-1282) 때 중국에서 네스토리우스파 수도사 두 사람이 일 한국으로 왔다. 한 사람은 랍반 소마, 다른 한 사람은 랍반 마르코였다. 랍반은 시리아어로 수도사를 뜻하는 말이다. 이들은 모두 기독교도 집안에서 태어...
2018.03.16,
작성자:김현일 연구위원, 작성일:2018.3.16., 조회수:2250
[역사와 문명]
77
유목민 이야기 41회 "칭기즈칸의 손자" 일칸 훌레구
■유목민 이야기 41회 "칭기즈칸의 손자" 일칸 훌레구 훌레구(1218-1265)는 칭기즈칸의 손자 가운데 한 사람이다. 좀 더 자세하게 말하자면 칭기즈칸의 막내 아들인 톨루이의 셋째 아들이었다. 톨루이의 아들들은 모두 세계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는데 첫째는 앞에서 이야기한 몽케 대칸이고 둘째는 중국을 통치한...
2018.02.21,
작성자:김현일 연구위원, 작성일:2018.2.21., 조회수:2629
[역사와 문명]
76
유목민 이야기 40회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
■유목민 이야기 40회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 루브룩은 남쪽의 알타이 초원에 진을 치고 있는 몽케의 진영에 크리스마스 직후에 도착하였다. 그리고 며칠 후인 1254년 1월 4일 몽케 대칸을 면담할 수 있었다. 그는 대칸과 그 가족을 위해 자신이 하느님께 기도할 것이라며 체류를 간청하였다. 대칸은 그들이 겨울을 날 수 있도록 ...
2018.01.18,
작성자:김현일 연구위원, 작성일:2018.1.18., 조회수:2345
[역사와 문명]
75
유목민 이야기 39회 윌리엄 루브룩의 몽골 선교여행
■유목민 이야기 39회 윌리엄 루브룩의 몽골 선교여행 윌리엄 루브룩의 몽골 여행기는 카르피니의 여행기와 더불어 당시 몽골족에 대한 중요한 사료 가운데 하나로 남아 있다. 루브룩은 프랑스령 플랑드르 출신의 프란체스코회 수사였다. 그는 1253년 5월 안티오키아를 출발하여 연말에 몽골 제국의 수도 카라코룸에 ...
2018.01.18,
작성자:김현일 연구위원, 작성일:2018.1.18., 조회수:2640
[역사와 문명]
74
증산도의 근본사상 제10회 | 제II장 보은(반반지은半飯之恩도 필보하라)
◈증산도의 근본사상 제10회 제 II 장 보은(반반지은半飯之恩도 필보하라) 보은이란 은혜를 갖는다는 뜻이다. 사실 이는 우리 인간의 삶에서 너무나 상식적인 사실이다. 우리는 은혜를 모르는 인간에 대해 ‘배은망덕한 놈’이라고 비난한다. 그러한 사람을 짐승만도 못하다고 말하기도 한다. 은혜를 갚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임을 잘 ...
2017.12.28,
작성자:유철 연구위원, 작성일:2017.12.28., 조회수:2249
[증산도 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