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6개(5/17페이지)
126
「삼일신고三一神誥」가 인도하는 진아眞我 3 삼일신고의 전래과정
「삼일신고」라는 경전은 언제 출현하여 동방 한민족에게 전해지게 되었던 것일까? 이 물음에 대해서 정확한 사료를 추적하여 체계적으로 밝혀내기란 아마 거의 불가능할 것이다. 다만 한민족의 정통사서 『환단고기』 「삼성기전三聖紀全」 하편下篇에서 전하는 바에 의거해 보면, 그 기원은 인류 최초의 시원국가인 환국桓國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2020.06.11,
작성자:문계석, 작성일:2020. 6. 11., 조회수:810
[증산도와 한문화]
125
「삼일신고三一神誥」가 인도하는 진아眞我 2 전문해석
『환단고기桓檀古記』 『태백일사太白逸史』 「소도경전본훈蘇塗經典本訓」(안경전 역주)에 의거해 볼 때, 한자漢字로 쓰여진 「삼일신고」는 총 366자字로 이루어져 있고, 다섯 장[五章]으로 분장되어 있다. 이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이 해석하여 개괄해볼 수 있다
2020.06.08,
작성자:문계석 연구위원, 작성일:2020. 6. 8., 조회수:874
[증산도와 한문화]
124
철학에세이 '철학을 바라보다' 2 산다는 것
철학자 이데거는 ‘산다는 것’에 대해 글을 남겼다. 그에 따르면 산다는 것은 지키는(지켜주는) 것이고 그 지킴의 의미는 ‘살림’이다. 그래서 하이데거에게 산다는 건 살리는 것이다. 하이데거는 1950년대 사물(das Ding)에 관한 일련의 글을 발표한다. 하이데거 저술들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개념은, 그 표현은 다를지라도 ‘지킴’(돌봄)의 뜻을 갖는 단...
2020.06.05,
작성자:황경선, 작성일:2020. 6. 5., 조회수:790
[증산도 사상]
123
「삼일신고三一神誥」가 인도하는 진아眞我 1
「삼일신고」는 인류가 ‘진아’의 삶을 살아가도록 가르쳐주는, 동북아 한민족의 배달국倍達을 개창한 환웅천황桓雄天皇에게 내려준 현묘玄妙한 경전이다. 「삼일신고」는 ‘진아’가 되는 길을 밝힌 원초적인 경전이다.
2020.06.03,
작성자:문계석 연구위원, 작성일:2020. 6. 3., 조회수:931
[증산도와 한문화]
122
김구, "상해 임시정부는 보천교에 많은 빚을 졌다"
보천교는 동학의 ‘시천주조화정(侍天主造化定)과 무극대도(無極大道)’의 정신을 정통으로 계승한 종교이다. 보천교는 후천개벽 사상을 통하여 나라를 잃고 좌절에 빠져 있던 조선 민중들의 자존감과 민족의식을 고취시켰다. 보천교가 독립운동에 자금지원을 한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로서 ㄱ 때문에 김구 선생은 상해 임정이 보천교에 많은 빚을 졌다고 하였다.
2020.06.02,
작성자:정원식 연구위원, 작성일:2020. 6. 2., 조회수:850
[증산도와 한문화]
121
코로나19가 영감을 준 아름다운 불시(佛詩) 한 편
차드 출신의 시인 무스타파 달렙이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를 보고 쓴 시로 프랑스인들 사이에서 회자되고 있다.
2020.05.18,
작성자:홍미선 연구위원, 작성일:2020.5.18., 조회수:898
[역사와 문명]
120
한시의 고향을 찾아서 2. 백거이白居易의 술을 마주하며(대주對酒)」
이 시는 중당中唐 시기를 대표하는 백거이白居易(772-846)의 「술을 마주하며」라는 시이다.백거이는 이 시에서 우주의 시공간에 대한 예리한 통찰과 혜안을 통해 인생의 참뜻을 밝히려고 한다
.
2020.05.04,
작성자:원정근, 작성일:2020. 5. 4., 조회수:1047
[역사와 문명]
119
『환단고기』 위서론 비판 3
■『환단고기』 위서론 비판 3 『세조실록』의 『삼성기』 기사 검토 1. 『안함 노원 동중 삼성기』라고 주장하는 사람들 『환단고기』 위서론을 주장하는 강단사학의 일부가 제시하는 근거 중의 하나는 『조선왕조실록』 의 한 기사다. 사실(facts)은 역사의 출발이다. 진실은 항상 사실이라는 주춧돌 위에 세워지는 ...
2020.05.04,
작성자:노종상 연구위원, 작성일:2020.05.04, 조회수:918
[역사와 문명]
118
코로나-19, 현대문명에 대한 성찰
인간은 자연의 주인이 아니다. 인간은 자연에 의존하며 거기에 터를 잡고 살아가는 모든 생명과 더불어 살아가는 존재의 하나일 뿐이다. 우리가 대처해야 할 것은 미생물 바이러스나 야생동물이 아니라, 탐욕으로 똘똘 뭉친 인간이라는 바이러스가 아닐까
2020.05.04,
작성자:강영한 연구위원, 작성일:2020.5.4., 조회수:852
[역사와 문명]
117
중국의 소수민족 2
중국 전체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한족과는 달리 나머지 55개 중국 소수민족의 대부분은 장구한 역사 속에서 종족집단의 형성, 분화, 이주 또는 타민족과 융합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복잡한 역사를 갖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자연적 조건에 의해 중국의 소수민족은 몇 가지 특징을 보인다
2020.05.04,
작성자:김선주 연구위원, 작성일:2020. 5.4., 조회수:940
[역사와 문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