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6개(11/17페이지)
66
◈증산도의 근본사상 제7회 원시반본 4. 3) 신교문명으로 원시반본
◈증산도의 근본사상 제7회 3) 신교문명으로 원시반본 한민족에 있어서 민족의 원시반본은 무엇이고 어떤 의미를 갖는가.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한민족의 근본은 단군 성조에서 찾아진다. 물론 그 이전 최초의 역사적 국가를 형성한 환인천제桓因天帝의 환국시대는 인류문명의 시발점이면서 우리민족의 시원적 뿌리가 된다. "...
2017.08.16,
작성자:유철 연구위원, 작성일:2017.8.16., 조회수:2573
[증산도 사상]
65
증산도의 근본사상 제6회 원시반본
◈증산도의 근본사상 제6회원시반본 2) 민족의 근본으로 원시반본증산도 《도전》에서 원시반본과 관련하여 언급한 구절 중에서 가장 중요한 구절 중의 하나는 바로 민족의 근본뿌리를 찾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 때는 원시반본 하는 시대라. 혈통줄이 바로 &nbs...
2017.07.18,
작성자:유철 연구위원, 작성일:2017.7.18., 조회수:2618
[증산도 사상]
64
유목민 이야기 33회 러시아 연대기에 보이는 쿠만 족
■유목민 이야기 33회 러시아 연대기에 보이는 쿠만 족 쿠만(Cuman) 족은 페체네그 족의 뒤를 이어 11세기 중반부터 13세기 초까지 흑해 북안과 남러시아 일대의 스텝 지역을 지배한 투르크계 유목민 집단이다. ‘쿠만’이라는 이름은 그리스와 라틴 사료에서 사용된 명칭이고 러시아인들과 폴란드인들은 그들을 ‘폴로비츠’라고 ...
2017.07.18,
작성자:김현일 연구위원, 작성일:2017.7.18., 조회수:3040
[역사와 문명]
63
유목민 이야기 32회 페체네그 족
■유목민 이야기 32회 페체네그 족 앞에서 본 대로 마자르족을 그 원주거지에서 밀어내어 판노니아 평원으로 이주하게 만든 것은 페체네그인들이었다. 비잔틴인들의 기록에는 ‘파치나코이’ 혹은 ‘파치나키타이’로 표기되어 있는데 ‘페체네그’라는 말은 동슬라브인들이 부른 이름이다. 콘스탄티노스 포르뤼로게네토스 황제는 그의 《제국통...
2017.07.05,
작성자:김현일 연구위원, 작성일:2017.7.5., 조회수:3167
[역사와 문명]
62
증산도의 근본사상 제5회 원시반본
◈증산도의 근본사상 제5회원시반본 4. 문명개벽과 원시반본후천개벽의 한 축으로서의 천지공사는 선천의 모든 불합리한 이념, 이법, 질서를 개혁하고 수정하여, 후천의 새로운 문명으로 예정하는 천지개벽공사이다. 선천의 상극지리는 원寃과 한恨을 맺히게 하고, 쌓인 원과 한은 천지에 재앙을 일으키므로 새로운 천지운로를 예정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천...
2017.07.05,
작성자:유철 연구위원, 작성일:2017.7.5., 조회수:2894
[증산도 사상]
61
◈증산도의 근본사상 제4회 원시반본原始返本 4
◈증산도의 근본사상 제4회원시반본原始返本 4 2) 우주론적 원시반본과 상제 후천개벽의 근본정신은 우주의 주재자가 우주자연의 새로운 운행질서를 마련함으로써 모든 존재들이 그 존재근원으로 돌아가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준엄한 추살의 심판을 하는 것에서 찾아볼 수 있다. 우리는 그 근본정신을 다르게 표현하여 원시반본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궁극적으...
2017.06.15,
작성자:유철 연구위원, 작성일:2017.6.15., 조회수:2898
[증산도 사상]
60
◈증산도의 근본사상 제3회 원시반본原始返本(이 때는 원시반본 하는 시대라
◈증산도의 근본사상 제3회 원시반본原始返本(이 때는 원시반본 하는 시대라) 3 3. 후천개벽과 원시반본 ─ 우주론적 원시반본증산도에서 가장 중요하고 특유한 사상은 ‘개벽開闢’과 ‘원시반본原始返本’이다. 이 절에서의 논의는 구원의 우주론적宇宙論的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후천개벽과 원시반본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전개될 것이다. 선천개벽과 대비...
2017.05.31,
작성자:유철 연구위원, 작성일:2017.5.31., 조회수:2924
[증산도 사상]
59
■유목민 이야기 31회 카자르 제국
■유목민 이야기 제31회 카자르 제국 6세기 중반에 세워진 돌궐 제국은 오래 지속하지 못했다. 내부적 권력투쟁에 더해 중국의 분열정책이 돌궐의 운명을 재촉하였다. 초기에 돌궐 제국은 나름대로의 권력분할 제도를 마련해두었다. 앞서 본 것처럼 돌궐 제국 창건자 토문이 죽자 그를 계승한 아들 무한은 카간의 칭호를 갖고 토문의 동생 이스...
2017.05.31,
작성자:김현일 연구위원, 작성일:2017.5.31., 조회수:3199
[역사와 문명]
58
증산도 근본사상 제2회 원시반본原始返本(이 때는 원시반본 하는 시대라)
◈증산도의 근본사상 제2회 원시반본原始返本(이 때는 원시반본 하는 시대라) 2 2. 원시반본이란 무엇인가 증산도의 기본이념인 ...
2017.05.10,
작성자:유철 연구위원, 작성일:2017.5.10., 조회수:3150
[증산도 사상]
57
■유목민 이야기 30회 비잔틴과 투르크의 첫 접촉
■유목민 이야기 30회 비잔틴과 투르크의 첫 접촉 로마제국의 운명은 북방유목민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서로마 제국은 훈족에 의해 밀려난 게르만족에 의해 멸망했다고 한다면 그 이후 천년이나 살아남았던 동로마 제국 즉 비잔틴 제국은 동양에서 이주한 투르크족에 의해 멸망하였기 때문이다. 1453년 비잔틴 제국을 멸망시킨 오스만 투르크...
2017.05.10,
작성자:김현일 연구위원, 작성일:2017.5.10., 조회수:3335
[역사와 문명]